본문 바로가기

Python5

vscode black 자동 포매팅 설정 python 스크립트 작성 후 가독성을 위해 black을 이용하여 formatting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깜빡하는 경우 보기 안좋은 코드가 깃허브에 그대로 올라가게 된다... (안그래도 부끄러운 코드가 더 부끄러워지게 된다...) 이런 불상사를 방지하기 위해, vscode에서 python 파일을 수정하는 경우 파일이 저장될 때 자동으로 black이 적용되도록 설정해주는 것이 좋다. * 참고 : black https://black.readthedocs.io/en/stable/ Black 24.2.0 documentation Next The Black Code Style black.readthedocs.io 1. vscode extension에서 Black Formatter를 설치한다. 확장 -> Bla.. 2024. 2. 22.
python으로 파일(폴더) 이동, 복사, 삭제 등 파이썬 기본 내장 모듈인 shutil 을 이용하면 된다 1. 파일 이동 import shutil src_file_path = "data/aaa.txt" dst_file_path = "tratin/data/bbb.txt" shutil.move(src_file_path, dst_file_path) 2. 파일 복사 import shutil src_file_path = "data/aaa.txt" dst_file_path = "train/data/bbb.txt" src_dir = "data/" dst_dir = "train/data/" # 복사되는 파일의 이름을 지정하는 경우 shutil.copyfile(src_file_path, dst_file_path) # 파일을 특정 디렉토리로 복사 # 파일의 내용 복사 s.. 2024. 1. 5.
파이썬 itertools 모듈 코딩을 하다보면 array, tuble, dictionary 등의 이터러블을 다뤄야 하거나 동일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유용하게 이터레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게 파이썬의 itertools 모듈이다. 0. 이터러블과 이터레이터 이터러블(iterable)이란 반복 가능한 객체를 의미하며, 이터레이터(iterator)란 이터러블에서 값을 생성해낼 수 있는 객체를 의미한다. 파이썬 내장함수 중 iter()를 사용해 이터러블을 인자로 하여 이터레이터 객체를 만들어 낼 수 있고, next()를 이용해 이터레이터를 호출하면 이터러블의 요소를 차례대로 꺼낼 수 있다. 어떤 타입의 객체가 이터러블인지 확인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iter()의 인자로 해당 객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터러블.. 2022. 10. 18.
문자열의 구성(숫자, 알파벳) 판별 파이썬에는 주어진 문자열에 대해 문자열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숫자 형태의 문자열인지,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문자열인지, 숫자와 알파벳으로만 이루어진 문자열인지...) 판별하는 함수들이 존재한다. 참고로 아래의 함수들 모두 공백이 포함되어 있을 때 False를 반환한다. - 숫자 판별 isdecimal() : 주어진 문자열이 정수 형태인지, 즉 해당 문자열이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는지를 판별한다. isdigit() : 주어진 문자열이 숫자 형태인지 판별한다. isnumeric() : 주어진 문자열이 숫자값 표현에 표현에 해당하는지 판별한다. test = ['1', '3²', '½', '2.1', ''] list(map(lambda x : x.isdecimal(), test)) >>> [True, False.. 2022. 10. 12.